[TGN 대전.세종.충청=양재도 기자]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요구하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이 일주일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추산된 피해 규모만 1조 6천억원인데, 연관된 업종으로 피해 확산이 본격화되면서 산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전국 주요 항만 컨테이너 보관 비율 껑충…제철소는 속속 가동 중단
민주노총 화물연대 파업으로 물류 대동맥이 멈추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3일 기준 전국 12개 항만의 장치율(항만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 비율)은 오전 10시 기준 72.2%로 평시 65.8%보다 높은 상태다.
산업 엔진도 속속 꺼지고 있다. 파업 여파는 철강과 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을 먼저 덮치는 모양새다. 국내 대표 철강회사인 포스코는 13일부터 일부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육송 출하 전면중단 상황지속으로 제철소 내 제품창고가 거의 포화상태"라며 "불가피하게 13일 오전 7시부터 포항제철소의 선재와 냉연공장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1선재 공장부터 4선재 공장까지 모든 선재 공장 가동을 중단되면서 타이어코드와 케이블 등의 생산이 중단됐다. 냉연공장은 가전과 고급 건자재용 소재를 주로 생산하는 2냉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생산이 중단되는 물량은 선재 제품 약 7500t(톤), 냉연제품 4500t으로 총 1만2천t수준이다.
현대제철 역시 전국 5개 사업장에서 하루 4만t가량의 철강제품 출하가 막히면서 생산 중단을 통한 생산량 조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수급난에 부품 수급난까지…車업계, TF꾸리고 비상대응
철강재가 제때 납품되지 못하면서 자동차 업계도 된서리를 맞았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설상가상 물류파업까지 덮친 자동차업계는 하루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매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파업으로 부품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며 생산라인의 가동과 중단도 반복되고 있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가동률은 지난주 평소의 50% 수준까지 하락했다가 다소 회복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는 지난주 수천여대의 차량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파업 장기화 조짐에 자동차 업계는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대응에 나섰다. 현대차·기아·한국GM·쌍용차·르노코리아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 5곳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현대기아협력회, 한국GM협신회, 쌍용협동회, 르노코리아협신회 등 부품업계 단체들은 이날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내에 TF를 꾸렸다.
KAMA는 "최근 화물연대 파업과 물류 방해 행위로 인한 부품수급 차질과 그로 인한 완성차 생산 차질이 다시 부품 수요 감소에 따른 부품 기업의 경영 애로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직면해 있다"며 "차 업계는 피해나 애로사항을 매일 파악해 신속 대응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TF를 구성, 가동키로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