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흐림동두천 13.5℃
  • 흐림강릉 16.0℃
  • 서울 13.3℃
  • 대전 17.4℃
  • 대구 14.4℃
  • 울산 12.8℃
  • 광주 12.7℃
  • 부산 13.6℃
  • 흐림고창 11.6℃
  • 제주 18.2℃
  • 흐림강화 6.0℃
  • 흐림보은 13.6℃
  • 흐림금산 14.9℃
  • 흐림강진군 14.1℃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유성을 황정아 국회의원

황정아 의원, 尹정부 R&D 삭감 직격 1호 법안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대표발의

국가 예산 5% 이상 R&D 투입’ 법제화 ‧‧‧ 과학중심지 대전 국회의원 전원 공동발의

과학기술부총리제도 신설 과학기술계 위상 복원, 과학기술에 범국가적 역량 집중

황정아 의원,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 통해 대한민국 과학기술강국 시대 견인”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국가 미래 근간 R&D 흔들려선 안돼 ‧‧‧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꾸겠다“

 

(TGN 땡큐굿뉴스=김정은 기자)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계 영입인재인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구을)은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 대표발의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 정부에 R&D 시스템 복원과 R&D 추경 수용을 촉구했다.

 

황정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국가 R&D 예산이 수 조원 삭감 되고 연구 현장은 쑥대밭이 됐다”며, “대통령과 정부가 막무가내 떼쓰기식 정책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제1호 법안인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의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21년부터 ‘23년까지 국가 총 예산 대비 R&D 예산 비중은 4.9% 수준이었다. 또한 보수 정부인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R&D 예산 비중이 5.0% 이상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과학기술계에 대해 ‘카르텔’이라 발언한 이후, 33년 만에 R&D 예산 삭감이 이뤄지면서 R&D 예산 비중은 올해 정부안 기준 3.9%까지 급전직하했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근거 없는 R&D 예산 일괄 삭감으로 인해 과학기술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황정아 의원이 대표발의한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은 ▲‘R&D 국가예산목표제’ 법제화를 위한 「국가재정법 일부개정법률안」과 ▲R&D 예산 관련 국회의 견제권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과학기술부총리제 신설을 위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구성됐다.

 

 

‘R&D 국가예산목표제’는 국가 총 예산의 5% 이상을 R&D에 투입하도록 규정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R&D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과학기술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은 기재부가 과학기술자문회의의 R&D 예산 심의 결과를 조정할 경우 국회에 즉각 보고하고, 공청회와 국회 동의를 거치도록 하는 등 국회의 R&D 예산에 대한 견제권을 강화했다.

 

과학기술부총리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부총리를 겸임하도록 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 정책 및 관련 산업・인력・지역혁신 정책에 관해 장기적 관점에서 범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현장 중심 과학기술정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황정아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국민이 보내주신 민의는 그 어느 때보다 준엄했다”면서 “더불어민주당에게는 과학기술계를 복원하라는 책무를 맡기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국정기조를 완전히 새롭게 전환하라는 심판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선이 끝난 지 한 달이 넘었는데도, 바뀌는 것이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사과는커녕,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R&D 추경’마저 단칼에 거부했다”면서 “대통령과 정부가 막무가내 떼쓰기식 정책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여당 역시 국가 미래 먹거리의 근간인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에 전향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며, 이어 “무너져가는 과학기술계를 살릴 ‘R&D 추경’도 수용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준비된 과학기술 전문가이자 과학기술계를 대변하는 연구자로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과학기술 정책을 마련해나가겠다”며 “과학기술이 곧 선진국 대한민국을 열 핵심 열쇠”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 공동발의에는 김기표, 김남근, 김용만, 박균택, 박범계, 박용갑, 박정현, 박지혜, 백승아, 윤종군, 장종태, 장철민, 조승래, 차지호 의원(가나다순)이 참여했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김정은 기자

TGN 땡큐굿뉴스 대표기자
TGN 본사 010 6416 3283
이메일 : didvk78@hanmail.net



오피니언










대전시 교육청



세종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