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는 지난해 4월 장애인 당사자를 비롯한 각 분야의 현장 전문가, 학계, 관계 공무원이 참여한 자문위원회와 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하며 5대 전략, 15개 중점과제, 53개 세부과제가 포함된 장애인정책(안)을 광주광역시에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관련 부서의 실행력 등을 논의해 최종 43개 세부과제를 확정하고 나머지 10개 과제는 통합 및 중·장기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은 광주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자립기반을 조성하는 등 장애인이 보다 행복하게 지역사회에서 차별 없이 살아가는데 초점을 맞췄다.
전략별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전략 1. 맞춤형 일자리를 통한 경제적 자립기반 조성
- 장애인 일자리 창출
- 제도 및 정책 개선을 통한 지원체계 강화
전략 2. 안전하고 차별없는 인권공동체 구현
- 여성장애인 지원 확대
- 장애인 권익 강화
- 장애인 안전 환경 조성
전략 3. 교육·문화·체육 기회보장을 위한 지원기반 구축
- 특수교육 기반 강화
- 장애인 평생교육권 강화
-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 체육을 통한 장애인 건강증진
전략 4.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민관 거버넌스 체계 구축
- 장애인복지시설 기반 구축
- 장애인 정보접근권 보장
- 지역사회 유니버설디자인 환경 조성
전략 5. 장애유형별 자립생활 및 건강권 확대
- 장애인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망 구축
- 장애인 복지서비스 확대
- 정신질환자 지원 강화
광주시는 이 같은 내용의 5대 전략 15개 중점과제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광주형 자립모델 개발, 최중증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추가 지원 ▲장애인 수련시설, 장애인 회관.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들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광주형 장애인청년통장 지원 ▲정신질환자 지원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통합지원서비스 등 43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이평형 시 복지건강국장은 “광주시 장애인정책 종합계획(2019~2020)은 민선7기 장애인정책 비전을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광주형 장애인복지 모델의 초석이 될 것이다”며 “장애·비장애 차별없이 장애인이 더욱 행복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광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