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보고회에서는 우리 지역 여건에 맞는 「창원형 시내버스 준공영제 모델」을 정립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수입금공동관리 기반의 노선입찰제(한정면허) 도입 △운행실적과 서비스 개선에 초점을 맞춘 표준운송원가 재정립 △표준경영모델 적용으로 불필요한 관리직 정비 △부실업체 구조조정 △삼진아웃제와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준공영제 협약 유효기간 설정 등 기존 시행되고 있는 준공영제와는 차별되는 창원형 준공영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보완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이번 연구용역은 창원시정연구원과 태성회계법인 컨소시엄을 통해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까지 진행되고, 세부협의 후 2021년 3월에 준공영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시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창원형 준공영제 모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고 세부적인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며, 전체 노선의 수입금과 운송원가를 고려해 보조금을 산정하는 「통산제」를 도입해 준공영제 여건 조성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허성무 시장은 “시민들을 위하여 준공영제 시행주체인 노·사·정 당사자가 서로 입장을 이해하여 양보하고 타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시는 시민들을 위한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고, 버스업체는 열악한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자구노력이 필요하며, 운수종사자는 처우 및 복지가 향상되는 만큼 친절하고 편리한 시내버스를 만드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고 당부했다.
[뉴스출처 : 창원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