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 11월 1일 제3차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에서 ‘계절관리 제’도입을 골자로 하는 관계부처 합동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 대응 특별대책’을 확정.발표함에 따른 것이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란 고농도 기간(12~3월)에 평상시보다 강화된 저 감정책을 시행하여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강도와 빈도를 완화하는 것 으로, 선제적.예방적 저감조치와 도민건강 보호 강화로 고농도 미세먼 지 대응의 실효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제도이다.
경상북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사업장이 3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생활주변 오염원 32%, 경유차 등 수송부문이 13%로 세 번째이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는 5개 부문(산업.수송.생활.건강보호.이행점검)에 걸쳐 강도 높은 대책을 추진중이다.
우선 ▲산업부문으로 중소기업의 노후 방지시설 교체비용을 지원하고 민간감시원 40명을 채용하여 사업장의 불법행위를 단속하고 있다. 내년에는 첨단장비인 이동측정차량과 드론을 도입하여 산업단지 중심 으로 운영, 정확한 오염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시 미세먼지 발생량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송부문 저감대책으로 공공기관 차량2부제와 관용차량 운행제한(초미세먼지 재난위기 경보 시)을 시행하고,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및 저공해 조치에 312억원,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위해 404억원을 지원했다. 2020 년에도 수송부문 저감에 579억원을 투자하여 2022년까지 목표치를 2020년에 초과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은 ▲생활부문으로 도내 27개소(175.374km)를 미세먼지 집중관리 도로로 지정하여 계절관리기간 중 먼지 사전제거를 위해 주변 공사장 비산먼지 발생억제 조치와 주변 도로 청소를 강화한다. 또한, 도로 재 비산 먼지 제거차량을 7대 보강했으며, 도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미 세먼지 저감 숲 조성사업도 매년 예산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건강보호 부문에서는 경로당, 주민센터 등 도내 1,800개소를 미세먼지 쉼터로 지정.운영하고, 어린이집.노인요양시설.여객자동차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실태 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한 교육.홍보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 획이다.
마지막으로,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계절관리제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이행점검 부문으로 배출저감, 수송, 건강보호 등 각 부문별 추진상 황을 매일 점검하고 있다.
최대진 경상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매년 이맘 때 찾아오는 고농도 미세먼지로부터 도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면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 차량 2부제 자율참여 등 도민들 의 적극적인 참여와 시.군과 산업계의 협조도 당부했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