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N 대전) 세계적인 남성 미용 전문 기업 질레트(Gillette)(뉴욕증권거래소: PG)가 게임 및 e스포츠 분야의 최신 이니셔티브인 질레트 컵(The Gillette Cup)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2월 3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대회에는 앨런 '브라이시' 브라이스(Alan 'Bricey' Brice)와 레인 체임버스(Iain Chambers) 등 e스포츠 호스트와 해설자들이 참여한다. 질레트 컵은 질레트 게임 연합 회원들이 글로벌 포트나이트(Fortnite) 커뮤니티 회원과 함께 포트나이트 크리에이티브에서 구축한 맵인 질레트 베드 배틀(Gillette Bed Battles)로 경쟁하는 대회다. 4년째를 맞는 질레트 게임 연합은 브랜드를 대표하고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선발된 세계적인 스트리머들로 구성된 팀이다. 비게임 브랜드로서 e스포츠에 참여하는 선구적인 기업인 질레트는 2021년 11월에 맞춤형 질레트 베드 배틀 맵을 출시했다. 이 맵은 첫 2주 동안 25만회 이상의 플레이가 진행되면서 포트나이트의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전투 맵(Top Growing Combat Map)으로 자리 잡았다.
(TGN 대전)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헤드셋, 육상이동무선(LMR, land mobile radios), DSLR 카메라 등의 멀티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용 스텝다운 벅 컨버터 'MAX7754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멀티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서는 2단계의 전력 변환은 물론, 가능한 최소 수준의 패키지와 긴 배터리 수명이 요구된다. 하지만 5V 이하까지 전압 강하를 해 전압을 시스템 레벨 전압까지 강하하는 프런트 엔드 컨버터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은 효율이 낮아 시스템의 배터리 수명을 줄인다. 또한 이 방식은 추가 컨버터가 요구되나 인덕터도 필요한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솔루션 크기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고전력 밀도의 MAX77540 벅 컨버터는 7.4V~3.3V에서 최대 효율이 94%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며, 기존의 QFN (Quad Flat No-lead) 패키지 대비 61% 작아진 웨이퍼 레벨 패키징(WLP)으로 공간 제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MAX77540은 폭넓은 4V~16V 입력 전압 범위와 2개의 3A 스위칭으로 USB-C 레일과 2S 및 3S 멀티셀 배터리를 통해 코어 전압으로의 단일
(TGN 대전)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및 디지털 금융 플랫폼 전문 기업 비디가 지난 올 1월 5일 오픈한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에서 클라우드 환경, 글로벌 오픈 소스 및 주요 API 솔루션을 활용해 탁월한 구축 역량 및 기술 완성도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고객 동의를 받고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모든 금융사에 흩어진 신용 정보를 모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데이터 분석 기반의 편리성과 합리적 소비 활동을 가이드하는 서비스다. 비디는 2000년대 후반 당시 국내에 생소했던 API 기반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하면서 꾸준한 기술력 향상 및 전문 인력을 확보했으며, 수년간의 API 플랫폼 구축 노하우를 바탕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APILUX (아피룩스)' 솔루션을 개발했다. 해당 분야의 여러 경험을 통해 다양한 고객과 마이데이터 사업의 역할별 수행이 가능한 높은 수준의 역량을 갖추게 됐으며, 현재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핵심 영역에서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중심이자 핵심인 신용정보원 정보 제공 영역 개발과 중계 기관인 코스콤 중계 기관 플랫폼 전체 구축 등
(TGN 대전) SK텔레콤이 자사의 '이니셜(initial)' 앱을 통해 국내 최초 블록체인,DID (Decentralized Identifiers, 탈중앙 식별자) 기반 '무인 안심존 출입인증'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무인 안심존 출입인증' 서비스는 직원이 상주하지 않아 전자출입명부 등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인증이 어려운 무인 매장에 '이니셜' 앱을 통한 인증 장치를 적용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보가 포함된 예방 접종 정보를 발급,조회,제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무인 안심존 출입인증' 서비스가 적용된 무인 매장에는 출입인증기가 설치되며, 매장 이용 고객은 '이니셜' 앱에서 QR을 생성해 출입인증기에 스캔하면 간단히 매장에 출입할 수 있다. 단 최초 사용 시에는 '이니셜' 앱 내에서 '모바일 가입 증명'과 '코로나19 예방 접종 정보'를 결합해 제출해야 한다. '무인 안심존 출입인증' 서비스는 코로나19 예방 접종 정보 확인을 위해 별도 인력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니셜' 앱의 신원 정보 확인 기능을 활용해 오후 10시 이후 청소년 입장 제한이 있는 PC방 등에서 코로나19 예방 접종 정보와 연령 정보를 함께 확인하는
(TGN 대전) 삼성전자가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ZEPETO)와 함께 1월 5일 출시한 '마이 하우스(My House)' 서비스가 MZ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마이 하우스는 삼성전자의 다양한 제품과 가구,조명,패브릭 등 인테리어 아이템으로 가상 세계에서 '나만의 집 꾸미기'를 구현해 주는 글로벌 서비스다. 삼성전자는 MZ세대가 삼성이라는 브랜드 가치를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체험하고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도록 이 서비스를 출시했다. 마이 하우스는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 개막일에 공개돼 삼성 전시장을 방문한 많은 관람객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또 지난달 28일에는 누적 방문 횟수 400만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출시한 지 한 달도 안돼 이 수치를 기록한 제페토 제휴 브랜드 서비스는 삼성전자의 마이 하우스가 유일하다. 이 서비스의 성공은 △제페토 제휴 브랜드 서비스 중 처음으로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했고 △자신의 취향대로 집 꾸미기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삼성전자의 제품과 브랜드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으며 △과제 수행 시
(TGN 대전) XRDoge가 지난 1월 27일 커뮤니티에서 친환경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XR589 하드웨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가 뉴스나 신문의 일면을 빈번하게 장식하고 있다. 화학 석유 연료의 연소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고, 온실가스가 형성돼 지구의 온도를 높인다. 빙하와 얼어붙은 땅들이 녹고 해수면이 상승되는 등 자연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 나아가 생존까지 위협받고 있다. 기업은 태양 에너지, 풍력, 고전압, 전기 자동차, 생물분해 플라스틱, 친환경 건축, 탄소 포집 등의 방법으로 탄소 배출을 절감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는 비 전동칫솔 사용, 토스터 대신 오븐 사용, 에너지 절감 전등 사용, 퇴근 시 컴퓨터 끄기, 건조기 대신 건조대 사용 등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로 탄소 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 XRDoge는 '나 자신부터 환경 보호를 실천하자'를 목표로 삼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탄소 중립의 탄소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하며, 중립은 중간 지점을 찾자는 뜻이다. 즉 모든 기업, 개인이 나무를 심고 에너지 절감, 배출 감소와 같은 방법을 동원해 궁극적으로 이산화탄소의
(TGN 대전) 주식회사 드림티엔에스는 산림 DB 구축 및 기존 수목 치수 방법을 개선할 소프트웨어 'PointShape Tree Analyzer'를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드림티엔에스가 개발한 PointShape Tree Analyzer는 위치 기반의 고정밀 라이다(LiDAR) 장비를 통해 수목을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렇게 얻은 데이터에서 각각의 나무 치수(크기 및 둘레)를 추출 및 데이터베이스(DB)화할 수 있다.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 산림 DB 구축 중요성이 커지면서 체계적인 산림 정보 DB 구축,관리 기술이 필요한 상황에 자동으로 수목 치수를 측정하고, 산림 DB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나무 숫자는 약 72억 그루로 추정된다. 이를 DB로 구축하는 데는 많은 비용, 시간, 노력이 필요하다. 라이다 데이터를 통해 관리하려는 치수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은 해외 기업에도 존재한다. 문제는 대다수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치수 측정 및 DB 구축에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이에 실제 무수한 개체를 DB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국내 자체 개발로 개발된 PointShap
(TGN 대전) 글로벌 게이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레이저(RAZER)가 PlayStation 전용 액세서리 3종 출시로 콘솔 라인업을 확장한다.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PlayStation의 상징적인 검은색과 흰색을 모티브로 해 시그니처 파란색을 사용한 Kaira 헤드셋 2종과 컨트롤러와 일체감 높은 색상으로 현대적 스타일을 완성한 급속 충전 스탠드다. Razer Kaira Pro for PlayStation 헤드셋은 Razer™ HyperSense로 구동되는 햅틱 기능을 탑재했다.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풍부하고 생생한 터치 감각 피드백을 제공하며, 게이머가 완전한 촉각 게임 플레이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헤드셋에 탑재된 마이크는 Razer™ HyperClear SuperCardioid 분리형 마이크로 음성 인식 패턴에 초점을 맞추고 노이즈를 억제해 선명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Razer Kaira for PlayStation 무선 게이밍 헤드셋은 2.4㎓와 Bluetooth 장치 사이를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는 Razer™ SmartSwich가 적용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Razer Kaira는 고음, 중간 음, 저음을
(TGN 대전) 전 세계 Wi-Fi 제품 시장 10년 연속 점유율 1위 글로벌 기업 티피링크(TP-Link)는 최신 Wi-Fi 6E를 지원하는 AXE5400 트라이 밴드 공유기 'Archer AXE75'와 Wi-Fi 6E 블루투스 5.2 PCIe 랜카드 'Archer TXE75E'를 1월 국내 최초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티피링크 최초의 Wi-Fi 6E 제품으로, 세계 최초로 한국 시장에서 먼저 만나볼 수 있게 됐다. Wi-Fi 6E는 2.4GHz와 5GHz 대역을 사용했던 기존 Wi-Fi에 새로운 주파수 대역인 6GHz가 추가된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의 표준을 정의하는 Wi-Fi 얼라이언스에 의해 2020년 1월 발표한 차세대 Wi-Fi 규격이다. Wi-Fi 기반의 디바이스가 늘고 5GHz를 사용하는 유무선 공유기 역시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부족하고 혼잡해진 주파수 채널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기존 Wi-Fi 6 (IEEE 802.11ax)에 6Hz 주파수 대역을 확장(Extended)해 다중 접속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고해상도 동영상 스트리밍과 초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에 최적화된 Wi-F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
(TGN 대전) 종합 부동산 관리회사 세안텍스가 자사의 건물 관리 노하우와 IOT 센서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 관리회사로 도약을 한다. 세안텍스 염규연 회장은 IOT 센서 전문기업인 모넷코리아와 손을 잡고 건물 관리 솔루션 'S-CUB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S-CUBE는 건물의 주요 설비와 관리자가 상시 확인하기 어려운 건물의 내,외관 및 CCTV 사각지대에 IOT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통합 관제 할 수 있는 스마트 건물 관리 솔루션이다. 이번 스마트 건물관리 솔루션 개발로 세안텍스는 운영하는 모든 현장을 종합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며, 긴급 상황 발생 시 설비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상황을 전달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 긴급상황 외에도 건물 및 설비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은 이상 징조가 있더라도 IoT 센서를 통해 사전 감지해 전문 엔지니어가 예지 보전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S-CUBE'가 제공하는 첨단 관리 시스템을 통해 건물 자산의 급격한 노후화
(TGN 대전) 비즈니스,법률,세금,도메인 보안 분야의 세계 선두 주자인 CSC가 25일 최신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2020년 1월 이후 코로나와 관련된 주요 용어가 포함된 도메인이 50만 개 가까이 등록됐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골자다. 이들 웹 도메인 중 상당수는 등록 패턴과 행태를 볼 때 브랜드와 소비자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CSC의 최신 보고서인 '코로나 2년 분석: 코로나19가 인터넷 보안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Two Year Analysis: The Impact of COVID-19 on Internet Security and Safety)의 일부다. 보고서 내용은 CSC가 최근 출시한 '도메인섹SM(DomainSecSM)' 플랫폼을 사용해 수집됐다. 이 플랫폼은 최근 등록, 삭제된 도메인명과 기존 도메인명, 온라인 브랜드, 사기(피싱)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메인섹SM'은 브랜드의 도메인 포트폴리오 생태계를 보호하고 방어하기 위해 전체론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최초의 솔루션이다. 이 플랫폼은 머신러닝, 인공지능, 클러스터링 기술을 접목한 독점 기술을 사용해 중요한 보안 인사이트를 생성한다. 이
(TGN 대전) 이노카가 한국 실정에 최적화된 상용차 전용 커넥티드카(Connected-Car) 시스템을 개발, 검증 및 양산 체계 구축을 완료하고, 타타대우상용차의 신차를 대상으로 OEM 공급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노카의 상용차용 커넥티드카 시스템에 대한 검증은 타타대우상용차의 2022년형 신차인 대형 트럭 맥쎈(MAXEN), 중형 트럭 구쎈(KUXEN)을 대상으로, KT와 함께 커넥티드카 시스템 단말 기능 및 서비스 연동 등의 주요 테스트를 마쳤으며, 20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타타대우상용차의 신차 출시 행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타타대우상용차는 신차 출시를 시작으로 자사 커넥티드카 서비스인 '쎈링크(XENLINK)'를 통해 운전자가 모바일 환경에서 쉽고 편리하게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고, 함께 제공되는 운행 이력 및 차량 소모품 관리 기능을 통해 스마트한 차량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광희 이노카 대표는 '이노카가 완성차 1차 협력사로는 처음으로 상용차용 커넥티드카 시스템 개발 및 검증을 완료하고 OEM 양산 체계까지 구축하게 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 및 적용으로 V2X
(TGN 대전) 에너지 IT 플랫폼 엔라이튼의 '발전왕'에 등록된 태양광 발전소 설비 용량이 2GW(2000MW)를 돌파했다. 국내 단일 서비스로는 발전왕이 유일하며, 현재 1만여개의 발전소가 등록돼 있다. 발전왕은 2021년 5월 누적 설비 용량 1GW를 확보한 데 이어 약 8개월 만에 2GW를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설비 용량 2GW는 2021년 태양광 신규 설비 보급 용량의 약 45%에 해당하는 규모다. 최근 SMP(계통 한계 가격)와 REC(신재생 에너지 공급 인증서) 가격이 함께 오르는 현상이 이어지면서 발전소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발전왕은 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 △공인인증서 없이 실시간 REC 가격 확인 △전국 발전소들의 평균,최고 발전 시간 비교 분석 △내 발전소의 예상 수익 확인 △발전소 빅데이터 바탕으로 내 발전소 상태를 분석해 알려주는 주간 보고서 등 태양광 발전소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다. 더불어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O&M, 태양광 보험 등)를 경제적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 PPA(전력 구매 계약), 전력 중개 등 VPP(통합 발전소) 연계 서비스를
(TGN 대전) 글로벌 컨슈머 노트북 및 게이밍 노트북 시장 리딩 브랜드인 ASUS (에이수스)가 최신 인텔 12세대 CPU를 탑재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2종 'ROG 제피러스 M16' 및 'ROG 스트릭스 스카 17'을 공식 출시하고,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 및 사은품 증정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날 출시된 게이밍 노트북은 △ROG 제피러스 M16 △ROG 스트릭스 스카 17 등 2종으로, CES 2022에서 공개한 신제품이다. 신제품 게이밍 노트북 2종은 최신 인텔 코어 12세대 i9 프로세서 및 최신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80Ti GPU를 탑재해 고사양 게이밍에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점이 특징이다. ROG 제피러스 M16은 울트라 슬림형 폼팩터를 적용해 휴대성과 고성능을 겸비한 16인치 게이밍 노트북이다. 16인치의 넓은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에도 약 1.9kg의 가벼운 무게와 얇은 두께로 휴대성을 강화해 집, 카페, 작업실 등 어디서든 고사양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게이밍 노트북 최초로 4면 슬림 베젤을 탑재해 약 94%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로 생생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165Hz/3ms의 빠른 반응 속도가 특징인
(TGN 대전) 삼성전자가 '삼성 갤럭시 언팩 2022' 초대장을 발송하며 완전히 새로운 갤럭시 S 시리즈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월 9일(미국 동부시간 기준) '삼성 갤럭시 언팩 2022(Samsung Galaxy Unpacked 2022:The Epic Standard of Smartphone Experience)' 행사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한다. 이번에 공개될 제품은 변화와 혁신의 아이콘, 갤럭시 S 시리즈의 신제품으로, 삼성전자는 신제품이 기존의 규칙을 깨고 나와 스마트 기기의 한계를 확장할 뿐 아니라 차세대 모바일 경험의 표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