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4 (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충청남도

부여군,'백제 목간 –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기념학술심포지엄 열려

백제시대 외경궁 및 논어 목간 등 생생한 역사를 만나다

 

(TGN 땡큐굿뉴스) 부여군과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목간학회 및 백제학회가 공동주관하는 '백제 목간 –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 기념학술심포지엄이 지난 25일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학술심포지엄은 오는 7월 30일까지 국립부여박물관 기획전시관에서 열리는 '백제 목간 – 나무에 쓴 백제 이야기' 특별전과 연계하여 진행된 행사로, 백제의 기록문화를 재조명하고 관련 학계와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성과를 지역민과 공유하고자 기획됐다.


이성시 일본 와세다대학 명예교수의 기조강연 '한국 목간 연구의 지평'을 시작으로 1부에서는 '부여 지역 목간의 발굴 현황과 분포', '부여 동남리 출토 목간 재검토', '부여 쌍북리 56번지 출토 목간의 재검토'를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으며, 2부에서는 '부여 출토 백제 목간의 서체'와 '디지털 가시화 기술을 활용한 부여 석조 명문 재검토 기초연구'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이병호 교수(공주교대)는 “부여 쌍북리 56번지에서 출토된 1호(논어) 목간이 사비도성에서 발견된 최초의 유교 경전에 해당하며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하며 주목받았다. 아울러 10호 목간에 대해서도 새로운 판독안을 제시했는데, 기존에 ‘잠동궁岑凍宮’으로 판독한 부분을 백제의 궁중 사무를 관장하던 내관 12부의 하나인 ‘외경궁外경'木+京'宮’으로 판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1983년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백제시대 목간이 출토된 이후로 쌍북리, 구아리, 동남리, 능산리 등 부여 지역 곳곳에서 다량의 목간이 출토됐다. 작은 나무 조각에 적힌 묵서를 통해 그 당시 지명과 인명, 관직명, 행정제도 등 백제의 생생한 역사를 확인할 수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번 심포지엄은 백제시대 목간을 통해 기존 문헌 자료에서 볼 수 없었던 백제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다 가까이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군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아직도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은 고대 백제의 문화와 사회제도 전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고 지식을 나눌 수 있는 귀한 시간이 됐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도 부여군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백제 역사문화를 재조명하고, 그 가치를 지역민과 공유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고민하면서 다양한 학술연구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 부여군]



오피니언



22대 국회의원 선거 뉴스








대전시 교육청



세종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