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N 대전) 국토교통부는 르노삼성자동차㈜,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혼다코리아㈜, ㈜한국모터트레이딩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21개 차종 49,24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밝혔다. 첫째,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제작, 판매한 XM3 45,476대는 전자식 조향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특정상황(조향핸들을 끝까지 돌려 지속 유지할 경우)에서 제어장치 회로기판에 열 손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조향핸들이 무거워져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어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해당 차량은 2월 28일부터 르노삼성자동차㈜ 직영 서비스점 및 협력 정비점에서 무상으로 수리(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둘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A4 40 TFSI Premium 등 17개 차종 3,549대(판매이전 포함)는 에어백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사고 발생 시 사고기록장치에 일부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되어 우선 수입사에서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를 진행하고, 추후 시정률 등을 감안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해당 차량은 2월 25일부터 아우디폭스바겐
(TGN 대전) 국토교통부는 3월 4일부터 4월 8일까지(25일간)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와 부실시공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빙기 건설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점검 대상 중 40%는 불시에 점검하여 안전관리를 일상화하도록 관리·감독할 계획이다. 전국의 2,261개 건설현장(국토부 316개, 산하기관 1,945개)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국토안전관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도로공사(EX) 등에서 소속직원과 외부전문가를 포함한 총 1,475명의 인력이 투입된다. 특히, 해빙기에는 겨울철 얼어있던 지반이 녹으면서 지반붕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므로, 흙막이 가설구조물 등의 해빙기 안전사고 취약공종에 대한 시공실태를 중점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건설사업관리기술인, 감리원의 근태·업무수행 실태와 품질관리자 적정배치, 타업무겸직 여부 등도 단속할 계획이다. 이번 점검결과에 따라 현장의 관리가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즉시 개선·보완 조치하도록 하고, 위법행위가 적발된 현장은 영업정지 또는 벌점 부과 등 엄중하게 조치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 서정관 과장은 ”겨울철 중단된 공사를 다시
(TGN 대전) EU 집행위는 서방의 對러시아 제재 및 러시아의 잠재적 보복제재가 EU 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검토 중이다. 구체적인 조치로 기존 부채 연장, 에너지 가격 급등 시 대출지원 및 보조금 신속 승인절차 등이 검토되고 있으며, 오는 10~11일 EU 정상회의에 앞서 발표할 예정이다. 일부 회원국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회복단계의 EU 경제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미칠 악영향에 대해 EU 집행위가 주도적으로 대응하고 나선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일부 회원국 관계자는 EU 이사회 승인절차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새로운 보조금 체제 도입보다는 기존 보조금 시스템을 충분하게 활용해야 한다며 비판적 입장이다. [한시적 긴급 보조금 프레임워크] 코로나19 사태 대응 보조금 규제 완화 경험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을 받은 기업 지원 및 이를 위한 EU 집행위 보조금 패스트 트랙 승인절차 도입을 검토한다. [코로나19 경제회복기금 조기 집행 권고] 이탈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회원국이 코로나19 경제회복기금의 일부만을 사용한 가운데, 각 회원국에 기금의 조기 집행을 통한 산업계 지원을 권고한다.
(TGN 대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EU의 에너지 위기 대응의 초점이 수입선 다변화 및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등 對러시아 의존도 완화로 전환했다. EU 집행위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수요 증가, 계절적 영향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감소 및 러시아의 추가 가스 공급 거부 등으로 초래된 EU 에너지 위기 완화를 위한 일련의 조치를 담은 통신문을 당초 2일(수) 발표 예정이었으나,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이 가중, 에너지 위기 대응 초점을 對러시아 의존도 완화에 맞추고 내주 발표할 통신문에 관련 조치를 포함할 예정이다. ] 통신문 초안의 對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완화 조치 가운데 가스 공급선 다변화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新에너지 협약(new energy compact)' 등이 주목된다. [가스 공급선 다변화] 러시아 수입 가스 대체를 위해 단기적으로 미국과 카타르 등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량을 확대하고, 국제 협상을 통해 추가적인 LNG 수입처를 확보한다. 올 9월 30일까지 EU의 평균 가스 비축률을 최소 80%로 유지하고, 각 회원국에 매년 9월 30일까지 최소 비축률 이상의 가스 확보를
(TGN 대전) 중국 찻잎유통협회에서 발표한 '중국찻잎소비시장보고'(中國茶葉消費市場報告)에 의하면 2020년 중국 내 차 매출은 220.2만톤으로 전년대비 8.7% 증가하였음. 매출액은 2,888.8억위안으로 전년비 5.5% 증가했다. 그 중 온라인 거래액은 280억위안으로 전년비 15.2%의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2021년 각 지역별 찻잎 거래가 안정적인 단계에 접어들어선 가운데 총 매출량은 230만톤을 돌파하였으며 이에 따른 매출액은 3,000억위안을 넘었다. 중국 신형 차음료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2017년의 442억위안에서 2022년 1,174억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 차 음료 및 커피 전문위원회(中茶協茶飲咖啡專委會)에 의하면 현재 중국 신형 차음료 매장수는 45만개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소비일보 ]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TGN 대전) 중국복합비료공업협회에 따르면 최근 중화화학비료(中化化肥), 중농그룹(中农集团)과 중해석유화학유한회사(中海化学)는 캐나다 칼륨비료회사 칸포텍스(Canpotex)와 2022년 칼륨비료 수입 계약을 체결, 수입가는 톤당 590달러로 전년 대비 139% 인상되었다. 중국의 칼륨비료 대외의존도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2020년 자급률이 46.7%에 불과함. 칼륨비료수입을 보장하기 위하여 중국 기업들은 담판을 통해 글로벌 주요 공급상과 대규모의 연간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2021년 칼륨비료의 계약서상 수입가는 톤당 247달러다. [출처 : 차이신(财新)]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TGN 대전) 보이그룹 트레저가 케이팝 팬덤 앱 ‘블립’을 통해 선보인 영상이 글로벌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내 손안의 덕메이트, 블립’은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트레저의 ‘직진 (JIKJIN) (Valentine Ver.)’ 영상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해당 영상은 단숨에 100만뷰를 돌파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트레저가 참여한 블립의 ‘blah blah(블라블라)’는 팬들의 니즈를 더욱 완벽하게 충족시켜주기 위해 아이돌의 ‘얼굴 근접샷’(익스트림 클로즈업 샷) 위주의 영상을 선보이는 새로운 콘텐츠로, 스테이씨에 이어 트레저가 두번째 주인공으로 선정됐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 속 트레저 멤버들은 기존에 무대 위에서 보여줬던 모습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사하며 눈길을 끌었다. 특히 화관, 풍선, 선글라스, 인형 등을 활용해 팬심을 저격하는 사랑스럽고 친근한 매력을 무한 발산하며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발렌타인데이를 기념해 공개된 영상인 만큼 여심을 설레게 하는 눈빛과 표정, 제스처 등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트레저 멤버들의 우월하고 독보적인 비주얼이 돋보여 감탄을 자아냈다. 이에 대해 팬들은 “한 장면 한 장
(TGN 대전) 배우 윤소이가 출산 후에도 여전한 미모와 아름다운 실루엣을 드러냈다. 후너스엔터테인먼트는 TV CHOSUN 새 주말미니시리즈 ‘마녀는 살아있다’로 안방극장 복귀를 앞두고 있는 윤소이의 여성조선 3월호 화보를 공개했다. 공개된 화보 속 윤소이는 컬러와 흑백 화보를 넘나들며 카리스마를 뿜어내고 있다. 특히 출산 후에도 독보적인 몸매를 드러내 눈길을 끈다. 윤소이는 블랙 러플 블라우스와 가죽 스커트, 오버사이즈 재킷, 블랙 미니드레스 등 다양한 스타일의 올블랙 패션으로 세련미와 시크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특히 뱅헤어 스타일과 강렬한 메이크업도 완벽하게 소화해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컨셉에 따라 보여주는 변화무쌍한 표정과 포즈는 어떤 컨셉도 자신만의 것으로 만드는 그의 컨셉 소화력을 돋보이게 한다. 여성조선 3월호 인터뷰를 통해 윤소이는 “11월에 출산을 하고 12월에 대본을 받았는데 너무 재밌더라”라며 “김윤철 감독님의 작품으로 복귀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주저하지 않고 선택했다”고 출산 4개월만에 ‘마녀는 살아있다’로 안방극장에 복귀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또한 4개월만에 완벽한 몸매를 만들 수 있었
(TGN 대전) 정의용 외교장관은 3.3일 제5차 한-아프리카포럼 계기 「모니크 은산자바간와(Monique Nsanzabaganwa)」 아프리카연합(AU) 부집행위원장, 「아이사타 탈 살(Aissata Tall Sall)」 세네갈 외교장관, 「낸시 템보(Nancy Tembo)」 말라위 외교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정 장관은 AU측 협조로 한-아프리카포럼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기쁘다고 하며, 포럼 성과를 바탕으로 한-아프리카 관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AU측의 관심을 요청하였다. 양측은 한국과 아프리카가 상호 호혜적 파트너로서 아프리카의 산업화 촉진 및 한국의 글로벌 공급망 확대 등에 서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크다고 하면서,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 등을 통해 한-아프리카 기업 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 해나가자고 하였다. 정 장관은 세네갈이 아프리카연합(AU) 설립 20주년인 올해 AU 의장국으로서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를 위한 중요한 파트너라고 하고, 올해 양국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개발, 경제, 방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간 실질협력도 한층 강화해 나가자고 하였다. 양 장관은 최근 사헬지역 정세 악화에 대한 우려를 함께 하였
(TGN 대전)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3.3일 오후 토비아스 린트너(Tobias Lindner) 독일 외교부 신임 정무차관과 상견례를 겸하여 첫 유선협의를 가졌다. 한독 양측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한반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노 본부장은 우리의 핵심 우방국으로서 독일이 그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속 지지해 온 점에 사의를 표명하였고, 린트너 차관은 향후에도 한반도 문제 관련 지속 관심을 가지고 협력해나가겠다고 했다. 또한, 린트너 차관은 한국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유엔총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데 대해 평가하였고, 노 본부장은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금번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경제제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해 왔다는 점을 설명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TGN 대전) 외교부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관 및 국립국어원과의 협의를 통해 향후 우크라이나 주요 지명에 대해 우크라이나식 표기를 사용할 예정이며, 국내 관계부처와도 새로운 표기 방식을 공유할 예정이다. 다만,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상기 지명에 대한 외래어 표기 심의가 진행 중이므로 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가 지명 표기를 확정·발표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명칭을 병기할 예정이며, 심의 결과에 따라 표기 방식을 확정할 예정이다. [뉴스출처 : 외교부]
(TGN 대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이화여자대학교(총장 김은미)와 3월 3일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회사형 장애인표준사업장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공단 조향현 이사장과 이화여자대학교 김은미 총장이 참석해 양질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의 설립에 공동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협약 체결은 1886년 설립 이래 새로운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며 공동선 창출에 기여해 온 교육기관으로서, ‘지속가능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혁신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이화여자대학교의 적극적 의지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화여자대학교는 2022년도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을 설립할 예정이며, 교내 카페테리아 바리스타를 시작으로 장애인 채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공단 조향현 이사장은 “늘 시대를 선도해온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자회사형 장애인표준사업장 설립을 추진하는 것에 감사드리며,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이 성공적으로 설립될 수 있도록 공단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동원하여 지원하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김은미는“이화여자대학교가 장애인을 위한 일자
(TGN 대전) 외교부는 3.3일 오후 이상화 공공외교대사 주재로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대응 민관 합동 TF' 제2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재청, 해외문화홍보원, 국가기록원, 동북아역사재단,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등 10개 관계부처·기관의 국·과장급 인사와 관련 분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2월 초 '민관 합동 TF' 제1차 회의 이후 상황을 공유하는 한편, 각 관계부처·기관 별 조치 현황을 점검하고, 단계별 대응 전략에 따른 향후 조치 계획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대사는 외교부 장관의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2.22.)을 포함하여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개되고 있는 외교적 교섭, 관련 자료 수집·분석 등 분야별 소그룹 실무 TF 개최(2.18., 3.2.) 결과 등을 공유하면서, 앞으로도 참석자들이 원팀으로 긴밀히 협업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참석자들은 일본 정부의 등재 신청 이후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우리측의 체계적이고 전방위적인 노력을 평가하고, 일본이 2015년 근대산업시설 등재 시 약속한 후속조치를
(TGN 대전)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2022년 3월 3일, 2022년 「제1차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주재하여,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등 5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첫 번째 안건으로,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을 심의·의결했다. 아레나 공연장은 최대 2만8천 명까지(스탠딩 포함) 동시 수용이 가능한 국내 최대규모 “음악공연 전문”시설로서 여기에 중형공연장, 영화관 및 판매․업무 시설 등이 추가되는 복합문화시설(complex) 형태로 건립했다. 그간에는 K-pop 등 세계적인 공연콘텐츠를 보유하고도 음악공연에 특화된 공간이 아닌 실내 체육관 등을 공연시설로 활용하여 콘텐츠 구현에 한계가 있었으나, 민간의 창의와 자본을 활용한 전용 공연장에 대한 최초의 민자사업 추진으로 영국의 O2 아레나와 같은 국제수준의 대규모 전용 공연장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 이는, 드물게 국비∙지방비 지원 없이 전액 민간자본으로(3,120억원) 추진하는 사업으로,공연전문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운영단계에서는 AR∙VR∙홀로그램 등 IT 기술을 공연 연출∙콘텐츠에 접목하고, 다양한 온라인 플랫
(TGN 대전) 외교부는 3.3일 아프리카연합(African Union)과 공동으로 「제5차 한-아프리카 포럼(Korea-Africa Forum)」을 개최하여‘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한-아프리카 협력 강화’ 주제下 △보건, △경제, △평화·안보분야에서 양측간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포럼에는 모니크 은산자바간와(Monique Nsanzabaganwa) AU 부집행위원장, 올해 AU 의장국인 아이사타 탈 살(Aissata Tall Sall) 세네갈 외교장관, 낸시 템보(Nancy Tembo) 말라위 외교장관, 이브라힘 모하메드 아왈(Ibrahim Mohammed Awal) 가나 관광예술문화장관을 포함하여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10개국 대표단이 참석하였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2006년 제1차 한-아프리카 포럼 개최 이후 한-아프리카 관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해왔으며, △개발협력 확대, △경제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제도적 기반 구축 및 기업 교류 플랫폼 확대, △AU 평화활동 지원을 통한 평화·안보 분야 협력 확대 등 3가지 비전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의 협력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 분야 협력